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냉풍기 정말 시원한가? 시간 지나면 덥게 느껴지는 이유
    일상 정보 2025. 7. 10. 13:21
    반응형

    선풍기로는 부족하고 에어컨은 부담스러워 냉풍기를 선택하신 분들 많을 텐데요. 직접 써보신 분들이라면 공감하실 겁니다. ​ 찬물과 얼음팩을 넣으면 처음 1시간은 시원한데, 얼음이 녹고 물이 미지근해지면 오히려 공기가 무겁고 더 덥게 느껴진다는 것! ​

    왜 이런 일이 생기는 걸까요? ​

     

    냉풍기의 원리​

    냉풍기는 물의 증발냉각을 이용해 공기를 식힙니다.

    물이 증발하면서 주변 열을 흡수해 시원한 바람을 내보내는 방식이에요.

    하지만 이 과정에서 공기 중 습도가 함께 올라갑니다.​

     

    ​ 시간이 지나면 오히려 덥게 느껴지는 이유​

    👉습도가 올라가면 체감온도도 상승 ​

    👉얼음팩이 다 녹고, 물이 미지근해지면 냉각 효과는 사라지고 습기만 남음 ​

    👉땀이 증발하지 않아서 오히려 더 후덥지근하고 답답한 공기 ​

    👉환기 안 하면 열기와 습기 정체 ​

     

    냉풍기는 실내 온도를 내리는 장치가 아님​

    👉창문을 닫고 오래 사용하면 열기 + 습기 → 체감온도 상승 ​

    👉짧은 냉기 지속 시간 ​

    👉얼음팩의 효과는 1~2시간 정도 ​

    👉그 이후엔 그냥 따뜻하고 습한 바람 ​

    👉곰팡이와 결로 우려 ​

    👉물통과 필터에 세균이나 곰팡이가 자라기 쉬움 ​

    👉집안 습도가 높아지면 결로·곰팡이 문제도 발생 가능 ​

     

    냉풍기, 조금이라도 효과적으로 쓰려면!​

    👉얼음과 찬물 함께 넣기 - 초기 냉각 효과 극대화 ​

    👉작은방보단 넓은 공간에서 사용 - 습도 상승 억제 ​

    👉창문 살짝 열고 사용 -습기 배출로 체감온도 낮춤 ​

    👉에어컨과 병행 -냉풍기를 서큘레이터처럼 활용 가능 ​

     

    냉풍기, 장시간 사용은 오히려 역효과​

    냉풍기는 단기적인 냉각에는 효과가 있지만, 장시간 사용 시에는 공기 중 습도가 높아져 오히려 더 덥게 느껴질 수 있는 한계가 있습니다. ​ 특히 밀폐된 공간에서 오래 틀어두면, 시원한 기계가 아니라 ‘습기 뿜는 기계’가 될 수 있다는 점 꼭 기억하세요.


    개인적인 생각에는 에어컨 사용량 줄여서 전기세 줄여보겠다는 마음이라면, 굳이 돈 들여 살 필요는 없는 것 같아요.

    생각보다 시원하지도 않고, 소음도 있고(물 순환되는 졸졸~소리)도 있고요.

    가정에 이미 있는 에어컨과 선풍기를 잘 사용해서 전기세 줄이는 게 훨씬 나을 것 같습니다. ​ ​

     

     

Designed by Tistory.